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LIVE GC Labs # HEALTH
빌리루빈(bilirubin) 검사결과 해석(총빌리루빈, 직접빌리루빈, 간접빌리루빈) 2024-06-04

빌리루빈(bilirubin) 검사결과 해석(총빌리루빈, 직접빌리루빈, 간접빌리루빈)


 

1. 빌리루빈(bilirubin)이란?

흔히 '황달수치'라고 하는 것은 사실 빌리루빈 수치를 뜻합니다. 빌리루빈은 불포합/포합 2가지로 나뉩니다.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에 포함되어있던 '헴(heme)' 이라는 물질이 대사되면서 (1)불포합(비결합형 unconjugated, 간접) 빌리루빈이라는 적갈색 색소가 만들어집니다. 이 색소는 다시 간으로 이동하여 효소작용에 의해 다시 (2)포합(결합형 conjugated, 직접)빌리루빈으로 전환됩니다. 이후 여러과정을 거쳐 포합 빌리루빈은 대변으로 배출되거나 '우로빌리노겐(urobilinogen)'으로 전환해 재흡수 사용되거나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2. 황달(jaundice)이란?

 

말씀드렸듯, 빌리루빈은 대사 혹은 배출의 과정을 거쳐 그 수치가 낮아져야 합니다. 그러나 대사 혹은 배출, 어떤 단계에서든 빌리루빈의 대사 과정에 문제가 생겨 몸에 점점 축적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혈액 내 적갈색 색소의 빌리루빈 농도가 과다해지면서, 이것이 조직내로 침투하여 노란 색을 띄는 현상이 바로 황달입니다.

이 황달은 또 다시 3가지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는데요.

 

 

1) 용혈성 황달(hemolytic jaundice = prehepatic jaundice)

- 적혈구가 다량 파괴되면서 정상적인 간의 배설능력보다 많은 양의 간접빌리루빈 담즙색소가 형성되는 경우입니다.

 

 

2) 간세포성 황달(hepatocellular jaundice = hepatic jaundice)

- 이름 그대로, 질환이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간세포가 손상되어 생기는 황달입니다. 세균, 약물, 독소로 인하여 간실질세포의 손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3) 폐쇄성 황달(obstructive jaundice = posthepatic jaundice)

- 담석, 경련, 이상조직 등으로 담도가 막히면서 빌리루빈이 장내로 배설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때는 간에 고여있던 빌리루빈이 역류하여 혈중에는 직접빌리루빈수치가 증가하고, 신장에서 여과되어 요중 농도도 높아집니다.

 


 

신생아의 황달(Neonatal Jaundice)

https://postfiles.pstatic.net/MjAyMzAyMDlfMjEg/MDAxNjc1OTA5NTI4NTQ3.v_d0xf13a4QwxkhTTMpLOL_h7ZGlDzNKLQ7AcVu8Pvkg._mhvMrliTDlBvMmzAAx8JU4M_aGO2zV6-CCSh7I2qTgg.JPEG.gclabs/GettyImages-1362813992.jpg?type=w966

- 생리적 황달

신생아는 적혈구의 수명이 짧아 빌리루빈의 생성이 증가하고 간 대사가 불완전하므로 처리 능력이 떨어져, 생후 2 ~ 3일부터 황달을 보이다가 5 ~ 7일 경 좋아지는 경우가 흔합니다.

 

- 병적 황달

적혈구 파괴가 늘어나는 용혈성질환, 감염, 머리 혈종 등 빌리루빈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요인과 간 대사를 저해하는 요인이 더해지면서 혈중 빌리루빈이 생리적인 기준을 넘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광선치료 이상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간기능검사의 결과해석이 궁금하다면?

간기능검사 결과 해석(클릭)

 

3. 황달 수치 검사는 누가 언제해야 할까?

 

1) 황달 증세를 보이는 환자는 근처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통해 간기능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2) 간기능검사의 항목에는 빌리루빈수치(농도)에 관한 검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빌리루빈수치의 체크와 더불어 AST/ALT 등의 다른 효소의 상승여부도 함께 확인하여야 합니다.

3) 한편, 복통이 매우 심하고, 피를 토하며 흑색 변을 본 경우, 또 피부에 멍이 있으며 의식에 변화가 있을 땐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4. 황달 수치(빌리루빈 수치) 검사 결과는 어떤 의미일까?

 

검사의 정상범위 수치와 그에 따른 해석은 각 병/의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수치와 진단은 검사를 시행한 각 병/의원의 의료진의 의견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항목

참고치(단위)

초과 시

Bilirubin, total

(총 빌리루빈)

성인의 경우

0.1 ~ 1.2 (mg/dL)

신생아의 경우

24 hrs: ≥ 8.0mg/dL

48 hrs: ≥ 13.0mg/dL

84 hrs: ≥ 17.0mg/dL

간질환, 폐쇄황달, 용혈빈혈, 길버트증후군(Gilbert syndrome) 등

Direct bilirubin

(직접 빌리루빈)

0.0 ~ 0.3 (mg/dL)

급성간염, 간경변, 간암 등 종양, 담도폐색,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약물 반응 등

Indirect bilirubin

(간접 빌리루빈)

0.0 ~ 0.7 (mg/dL)

용혈황달, 신생아황달, 간경변, 길버트증후군(Gilbert syndrome), 크리글러-나자르 증후군(Crigler-Najjar syndrome), 두빈-존슨증후군(Dubin-Johnson syndrome)

 

 

항목

직접(포합/결합)빌리루빈 / 총빌리루빈 비율

 

용혈성 황달

20% ~ 30% 이하

 

간세포성 황달

30 ~ 70% 사이

 

폐쇄성 황달

70% 이상

 

 

5. 검사는 어떤 항목이 있을까?

 

1) 총 빌리루빈(Bilirubin, total)

직접 빌리루빈과 간접 빌리루빈을 포함한 전체 빌리루빈 수치를 뜻합니다.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면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간접(비결합, 불포합) 빌리루빈(Indirect bilirubin)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이 대식세포에 의해 분해되면서 생성됩니다. '비결합 빌리루빈' 또는 '비포합 빌리루빈'으로도 불립니다. 이 색소의 수치가 증가 시 신생아 황달 또는 용혈성 빈혈 등의 용혈성 질환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3) 직접(결합, 포합) 빌리루빈(Direct bilirubin)

비결합 빌리루빈과 간의 효소 작용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결합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의 상승은 급성 간염, 간경변, 간암, 전격성 간염, 급성 지방간,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폐쇄성 황달 등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문헌 참고

 

01. 서울아산병원(직접 빌리루빈)

02.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황달

03. GC녹십자의료재단(검사항목조회)

04. 청해의학(빌리루빈 대사과정과 검사결과 해석 - 황달)

05. 청해의학(신생아황달의 진단과 치료)

06. Bilirubin in clinical practice: a review(빌리루빈 비율에 따른 질환)

08. 두산백과 - 빌리루빈

 

간섬유화 검사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