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검체 채취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검체운송시스템으로
검체 안정성을 최적화합니다.

채취 시기

혈액 성분은 운동, 식사,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아침 공복 시에 채혈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격심한 운동 후에는 충분히 안정을 취한 다음 채혈하며, 동일한 환자에게서 같은 검사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같은 시각, 같은 조건하에서 채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혹은 생리적 변동 요인

  • 개인 간 변동

    • 유전 : 개인차, 성별, 인종
    • 생활환경 : 지역, 식습관, 흡연, 직업
    • 시간 : 연령
  • 개인 내 변동

    • 시간 : 일 내 변동, 일 간 변동, 계절에 따른 변동
    • 행동 : 식사, 체위, 운동
    • 생리 : 검체채취 부위, 성주기, 임신

식후 측정치가 변동하는 검사항목

  • 증가

    요량, 요당, 혈당, Triglyceride, Uric acid, Lipoprotein (LDL, VLDL), Amylase, Total lipid, Catecholamine, Insulin, Aldosterone, VMA, Vitamin

  • 감소

    Glucose를 제외한 요 중 성분 농도, Hemoglobin, Hematocrit, WBC count, Total protein, Albumin, Serum iron, Growth hormone

운동 후 측정치가 변동하는 검사항목

  • 증가

    Blood cell, Hematocrit, Hemoglobin, Total protein, Lactic acid,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AST, ALT, LD, CK,Growth hormone, Sodium, Chloride, Whole blood specific gravity, Urine RBC, Urine urobilinogen

  • 감소

    Amino acid in blood, Renal clearance, Potassium, GTT, Urine calcium, Magnesium

채취 준비

환자 준비사항 및 인적사항 확인(patient identification)

  • 채혈하기 전 환자에게 채혈할 것을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
  • 환자 이름, 생년월일, 병원 등록번호, 성별 등 반드시 2개 이상의 개방형 질문을 통해 환자 확인을 철저히 합니다.
  • 의식이 없거나 너무 어린아이, 인지장애 환자의 경우 반드시 간호사, 보호자, 동반자 등을 찾아서 환자 정보를 확인하며, 주어진 환자 정보와 가지고 있는 환자 정보를 비교해야 합니다.
  • 채혈하고자 하는 환자의 손목/발목 띠 또는 검사의뢰서를 반드시 확인합니다.
  • 환자 확인 과정에서 문제 발생 시 채혈을 보류합니다.

검체 라벨링 부착 및 확인

  • 검체용기에는 적어도 2개의 식별자가 라벨링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 환자 정보와 바코드 정보를 확인 후 검체용기에 바코드가 떨어지지 않도록 완전 밀착하여 부착하며, 구겨지거나 파손된 바코드는 자동화 분석이 불가능하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검체가 2개 이상인 경우 바코드를 검체 수만큼 출력하여 각각의 검체용기에 바코드를 부착해야 합니다.
  • 채취 부위 또는 채취 시간이 다른 동일 종류의 검체로 동일 종목의 검사를 의뢰할 경우에는 각각 서로 다른 바코드를 부착해야 합니다. 바코드가 동일하면 각각 독립된 작업번호가 부여되지 않아 제대로 검사가 될 수 없습니다.
  • 튜브 형태의 검체용기는 바코드 리더기가 읽기 용이하도록 세로 형식으로 부착하며, 검체 상태와 검체량 확인이 가능하도록 바코드를 부착합니다.
  • 채혈하고자 하는 환자와 부착된 검체 바코드의 환자 이름, 병원 등록번호 등을 비교하여 다시 한번 확인 후 채혈을 합니다.

바코드 부착법

  • 올바른 바코드 부착법

  • 다수 검체 바코드 부착법

  • 다수 바코드 부착법

채취 방법

동맥혈로 검사하는 혈액가스 분석을 제외한 대부분의 검사는 정맥혈로 시행합니다. 모세혈관은 정맥혈관이 좋지 않은 경우나 소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환자가 수액을 맞고 있는 쪽은 피하도록 합니다. 혈액의 농축 및 용혈로 인한 검사결과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압박대를 1분 이상 묶지 않은 상태에서 적당한 속도로 거품이 발생하지 않게 채혈합니다.

주사기를 사용하는 경우

채혈이 완료된 주사기에서 바늘을 제거한 다음 용기의 기벽을 따라 혈액이 흘러내리도록 천천히 분주합니다.

진공 채혈관을 사용하는 경우

진공 상태이므로 용기 뚜껑을 열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며, 용기에 표기된 만큼 채취합니다.

용혈에 의한 검사결과의 변동

  • 증가

    Total protein, A/G ratio, Potassium, Chloride, Inorganic phosphorus, Iron, Amylase, AST, ALT, LD, Cholesterol

  • 감소

    Bilirubin, Lipase, ACP

검사 용도별 채취 순서

검사 용도별 검체를 확인하여 정해진 검체용기의 사용과 용량을 준수하고, 여러 종류의 튜브가 요구될 경우에는 권장 순서에 따라 채혈합니다.

권장 채취 순서

  • 01Blood culture
    bottle

  • 02Sodium-citrate
    tube

  • 03Plain tube &
    SST

  • 04Heparin tube

  • 05EDTA tube

  • 06NaF tube

주의사항

  • 모든 혈액검체는 채혈한 다음 30분 정도 거치한 후 혈청 또는 혈장을 3,000rpm, 10분간 원심분리하고, 당일 수거가 곤란한 경우는 냉장 보관합니다. 예외의 조건이 있는 항목이 있으므로 보관 조건을 참조하거나 본원으로 문의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SST 기벽에는 혈액응고를 촉진시키는 하얀 실리카 알갱이(silica particle)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혈액을 넣은 후 마개를 닫고 즉시 전도혼합을 5~10회 반복하여 혈액이 빨리 굳을 수 있도록 합니다.
  • 항응고제와 혈액량의 비율이 적합하지 않으면 미세한 혈액응집이 생겨, 혈구계산검사 또는 혈액응고검사에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 혈액응고검사를 위한 채혈 시 조직액이 미량 섞이거나 항응고제 비율이 적당하지 않으면 환자 상태와 전혀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혈당검사 의뢰 시 채혈 후 NaF 용기 사용을 권장하며, 30분 이내에 혈청분리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 중금속검사 의뢰 시 채혈 후 중금속 전용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전용용기는 혈청 용기와 EDTA 용기를 구분하여 채혈해야 하며, 채혈 후 첨가제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8~10회 전도혼합을 합니다. 혈청 검체의 경우 채혈 후 용혈 방지를 위해 분리가 필요합니다. 피브린 생성 방지를 위해 최소 30분~60분 실온 방치 후 원심분리를 하며 피브린 제거를 위해 목면봉 또는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채취 방법

일반 요검사를 위한 단회뇨(random urine, RU)

아침 첫 요의 중간 요는 하루 중 가장 농축된 상태이며, 산성이 강해서 원주(casts)나 기타 요 구성물이 잘 유지되므로 일반 요검사나 현미경적 검사에 가장 적합합니다. 반드시 식후 2시간 이상 경과된 후, 심한 운동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뇨하고 검사 전까지 냉장 보관합니다.

정량검사를 위한 24시간 축뇨(24 hours urine, 24hU)

하루 중 그 배설이 일정치 않은 호르몬, 단백 및 전해질 등을 정량하고자 할 때에는 24시간 축뇨가 필요합니다. 지정된 시간(예: 오전 8:00)의 첫 요는 버려 방광을 비우고, 그 이후부터 다음날 지정된 시작 시간(오전 8:00)까지의 모든 소변을 용기에 모읍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대변볼 때 나오는 소변도 모아야합니다. 소변은 냉장 보관을 하면서 모으고, 만약 채뇨 중 100mL이상 검체가 유실된 경우에는 처음부터 다시 검체를 모읍니다. 모아진 소변은 총 축뇨량을 기입하고 잘 혼합하여 검사 시 필요량(약 50mL)을 채취하여 검사실로 보냅니다.

세균배양을 위한 채뇨

무균적 중간 요(clean voided midstream urine)가 적절하나, 필요 시에는 도관법(catheterization)이나 치골상부 흡인법(suprapubic aspiration)도 사용됩니다. 채뇨 즉시 실시해야 하지만 불가피할 경우 배양할 때까지 냉장 보관합니다. 성병관련 검사일 경우 처음에 떨어지는 소변(first-voided urine)을 채취합니다.

요 보존 방법

세균 번식을 막고 용질, 세포, 원주 등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하는 방법으로는 냉장 또는 냉동, pH 조절, 화학 보존제 첨가 등이 있습니다.

냉장 또는 냉동 보관

요검사가 지연될 때는 요검체를 냉장 보관 하여야 합니다. 특히 요보존제 사용에 따른 영향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불안정한 물질의 정량검사를 실시할 때는 24시간 뇨의 일부를 냉동시켜 보관합니다.

pH 조절

HCl을 첨가하면 pH를 낮춰 세균증식을 억제할 수 있고,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화학 보존제

24시간 축뇨를 이용한 검사의 가장 큰 오차의 원인은 검체채취 및 보존상의 오차이므로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식이나 약물 복용을 금하고 검사 종목에 따른 보관방법과 요보존제를 첨가합니다.

요 보존제 종류

보존제 보존제량 특징
Acetic acid 1.7mL/100mL urine 호르몬 검사에 적합합니다.
Boric acid 1.0g/100mL urine 요검체 중 세균의 보존에 사용되며 과량을 가하면 배양 시에 균이 잘 자라지 못합니다. 또한 요산을 침전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아미노산 검사에 적합합니다.
Toluene 2.0mL/100mL urine 화학적 성분 보존에 좋으며 표면에 도포되므로 공기의 출입은 막아주나 미생물의 증식은 막지 못합니다. 그러나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화학검사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요화학검사에 적합합니다.
6N HCl 2.0mL/100mL urine 보통 요는 pH 6.0~7.0 전후(약산성)이며, 방치해 두면 요 중에 암모니아가 증가하여 알칼리로 변성됩니다.
알칼리 물질은 catecholamine 등의 물질을 분해하므로 산성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염산(6N HCl)을 넣을 필요가 있습니다.

항목별 24시간뇨 보존제

GC Labs 코드 검사명 보관조건 보존제 종류
무방부제 6N HCl 기타 보존제
C435 17-KS 냉장
C436 17-OHCS 냉장
C438 5-HIAA [24hU, HPLC] 냉장
C441 Al (aluminum) 냉장
P579 Albumin [24hU] 냉장
E467 Aldosterone (24hU) 냉동
C167 Amino acid [LC/MS-MS] 냉동
C474 BUN (U) 냉장
C475 Calcium (U) 냉장 6mol/L HCl 5.0mL 첨가
D711 cAMP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24hU] 냉장
N593 Catecholamines (2분획) [24hU] 냉장
N596 Catecholamines (3분획) [24hU] 냉장
C201 Ccr (creatinine clearance) 냉장
C442 Cd (cadmium) 냉장
C505 Citric acid (citrate, U) 냉장
P341 Citric acid (citrate) [GC/MS] 냉동
C480 Cl (chloride, U) 냉장
B593 Co (cobalt) 냉장
U131 Coproporphyrin (정량) 냉장차광 10% Sodium carbonate 15~20mL 첨가 (알칼리 상태 유지)
L961 Cortisol, free (CIA) 냉장
P300 C-peptide [24h U] 냉동
C444 Cr (chromium) 냉장
E605 Creatine (U) 냉동
C476 Creatinine [24hU] 냉장
C450 Cu (copper) [U] 냉장
N220 delta-ALA 냉장 ① 6N HCl: 5세 이하 15.0 mL, 성인 30.0 mL
② 50% acetic acid: 5세 이하 15.0 mL, 성인 25.0 mL
C181 Free kappa light chain (U) 냉장
C182 Free lambda light chain (U) 냉장
L278 Free urinary iodine [24hU] 냉장
C477 Glucose(U) 냉장 Glacial acetic acid 5mL 첨가
C446 Hg (mercury) 냉장
C301 HVA [U, HPLC] 냉장
S130 Hydroxyproline, free [LC/MS-MS] 냉동차광
S131 Hydroxyproline, total 냉동
C478 Inorganic-phosphorus (U) 냉장 HCl 첨가(pH 3.0 미만으로 유지)
C481 K (potassium, U) 냉장
C458 Metanephrine [24hU, HPLC] 냉장
S750 Methylmalonic acid [24hU, GC/MS] 냉동
P301 Magnesium(Mg)[24h U] 냉장
S973 Microalbumin [24hU] 냉장
C449 Mn (manganese) 냉장
C482 Na (sodium, U) 냉장
C457 Normetanephrine [24hU, HPLC] 냉장
U120 Osmolality (U) 냉장
C208 Oxalic acid (oxalate) [GC/MS] 냉동
C451 Pb (Lead) 냉장
U123 Porphobilinogen 정량 냉장차광 10% sodium carbonate: 5Y 이하 15.0 mL, 성인 25.0 mL
K675 Protein EP [24hU] 냉장
C640 Protein, total [24hU] 냉장
E452 Total metanephrines [24hU, HPLC] 냉장
C479 Uric acid (U) 실온 NaOH 첨가(pH 8.0 초과로 유지)
L043 Urinary bromide (24hU) 냉장
L046 Urinary fluoride (24hU) 냉장
L041 Urinary iodine (24hU) 냉장
U130 Uroporphyrin (정량) 냉장차광 10% Sodium carbonate 15~20mL 첨가 (알칼리 상태 유지)
C434 VMA [24hU, HPLC]_정량 냉장
C459 Zn (zinc) [U] 냉장
S527 α1-Microglobulin 냉동

채취 방법

단회 분변(Stool)

2~3g의 대변을 멸균된 플라스틱 용기에 채취합니다.

Stool 용기 검정색 뚜껑에 달려있는 스푼을 이용하여 약 2~3g 정도 채취 Stool 용기 검정색 뚜껑에 달려있는 스푼을 이용하여 약 2~3g 정도 채취

24시간 분변(24 hours stool)

채취한 검체의 총 무게를 측정한 후 검체 내용물을 균등하게 혼합합니다. 멸균된 플라스틱 용기에 검사에 필요한 적당량(약 4~5g)을 채취한 후 밀봉하여 냉장 보관하고, 검사의뢰서와 용기에 채취 시간과 총 무게를 기재합니다.

채취 방법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감염, 악성종양, 지주막하출혈 등의 진단에 사용되는 뇌척수액은 요추천자를 통해 채취되며, 일반적으로 3개의 무균용기에 각각 2.0~4.0mL씩 차례대로 받아 검사에 이용합니다. 처음에 나오는 뇌척수액은 피부조직 파편이나 피부 세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므로 화학적 또는 혈청학적검사를 위해 사용하고 두 번째는 세균검사, 세 번째는 세포수 측정과 같은 혈액학적검사에 이용합니다.

  • 1번째 용기 : 화학 및 혈청검사

  • 2번째 용기 : 세균검사

  • 3번째 용기 : 세포 수 산정

양수(Amniotic Fluid, AF)

  • 채취 시기

    양수검사는 양수의 양 및 배양 가능한 세포수를 적절히 얻을 수 있는 임신 16~20주경에 천자를 시행하며 채취된 소량의 양수를 배양하여 염색체검사 및 생화학검사를 시행합니다.

  • 채취 방법
  • 초음파로 태아와 태반의 위치를 확인해가면서 복부 피부를 국소 마취한 후 가느다란 바늘을 이용하여 천천히 양수를 흡입하여 채취합니다. 채취 전 과정은 무균상태로 실시해야하며, 채취 된 양수는 검사 필요량을 멸균용기에 옮겨 담아 밀봉하여 즉시 검사실로 보냅니다.
  • 주의사항

    양수 채취 시 모체 혈액이 오염되거나 15주 이내의 너무 이른 채취 및 양수 세포가 적은 경우 등 검체가 불량인 경우에는 양수를 다시 채취할 수 있습니다.

관절액(Synovial Fluid)

세 개의 시험관으로 나누어 무균관은 미생물검사에, 항응고제를 포함한 시험관은 혈액학적검사에, 나머지 관은 생화학적검사에 사용합니다.

채취 방법

  • 머리 후두부에서 3~4곳 나누어 소량의 머리카락 뭉치를 두피(모근)에 가깝게 (모근으로부터 0.3cm 이내) 가위를 이용하여 자릅니다.

  • 두피로부터 3cm 이상의 머리카락은 버려주시고, 3cm 이내의 머리카락만을 종이 저울 "머리카락 놓는 곳"에 올려놓습니다.

  • 머리카락 무게가 0.3g이 될 때까지 후두부 다른 여러 부위(약 5~7곳) 에서 충분한 양의 모발을 채취합니다.

주의사항

  • 염색, 퍼머, 탈색한 머리카락은 최소 2개월이 지난 후부터 표본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기능성 샴푸(탈모방지 등) 사용 시 최소 2~3주 후 검사가 가능합니다.
  • 화학성분이 함유된 제품(스프레이 등)은 검사 당일 사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