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검체운송시스템으로
검체 안정성을 최적화합니다.
Hct | 6% | 20% | 30% | 45% | 55% | 63% | 70% |
---|---|---|---|---|---|---|---|
Ratio | 1 : 5 | 1 : 6 | 1 : 7 | 1 : 9 | 1 : 11 | 1 : 13 | 1 : 16 |
① 회색(Nil) 용기
② 녹색(TB1 antigen) 용기
③ 노랑색(TB2 antigen) 용기
④ 보라색(Mitogen) 용기
: 생년월일, 체중, LMP, 임신 주수(LMP, 초음파), 과거력(Down, NTD, IDDM 등), NT(nuchal translucency), 재검 의뢰 시 1차 결과, 기타소견 등.
검사시기 | 분류 | 검사항목 | 검체량 |
---|---|---|---|
임신 10~13주 | 선별검사 | First double marker (PAPP-A, Free β-HCG) | 혈청1.0mL |
Integrated test 1차(PAPP-A) | |||
Sequential test 1차(PAPP-A, Free β-HCG) | |||
임신 14~22주 | Triple test (AFP, uE3, hCG) | 혈청 1.0mL | |
Quadruple test (AFP, uE3, hCG, Inhibin-A) | |||
Integrated test 2차(AFP, uE3, hCG, Inhibin-A) | |||
Sequential test 2차(AFP, uE3, hCG, Inhibin-A) | |||
임신 15~22주 | 생화학 정밀검사 | AFP(양수) | 양수 2.0mL | SAcetylcholinesterase 정성 | 양수 3.0mL |
무균적으로 3개의 용기에 채취하며, 그중에 2번째 채취한 뇌척수액을 미생물 검사용으로 사용합니다.
채취 후에는 즉시 밀봉하여 검사실로 보내야 하며, 검사가 지연이 되면 실온 보관합니다.
단 한 개의 집락이 자라도 의미가 있으므로 검체채취 시 오염되지 않도록 하며, 주사기로 흡인 후 무균 상태로 보관합니다.
시험관으로 옮기면 혐기성세균이 사멸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입안을 맑은 물로 세척합니다.
심호흡을 3회 실시하여 폐 깊숙히 있는
가래가 나올 수 있도록 합니다.
깊은 기침을 하여 객담을 받으며
침이 섞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Grade | Number of cell / Low-power field | |
---|---|---|
Epithelial cell | WBC | |
1 | > 25 | < 10 |
2 | > 25 | 10~25 |
3 | > 25 | > 25 |
4 | 10~25 | > 25 |
5 | < 10 | > 25 |
6 | < 10 | < 10 |
자궁경관에서는 질 내의 세균이 오염되지 않게 하면서, 윤활제를 쓰지 않고 질경(speculum)을 이용하여 자궁경부를 보이게 한 다음 면봉으로 점액을 제거한 후 새로운 면봉을 사용하여 자궁경부내강(endocervical canal)에 넣어 검체를 채취 후 수송배지에 넣습니다.
요도 검체는 분비물이 많을 때는 면봉으로 채취하고, 적을 때는 요도의 2cm 깊이까지 가느다란 면봉을 넣어 채취 후 수송배지에 넣습니다.
조직 검체는 멸균용기에 멸균식염수를 넣거나 멸균식염수를 적신 거즈로 싸서 마르지 않게 검사실로 보냅니다.
검체종류 |
채취 및 검체량 |
검체용기 | 주의사항 |
---|---|---|---|
Stool | 3~5g (설사변일 경우 5g) | 멸균용기 |
|
Urine | 5.0mL (신생아: 2.0~3.0mL) | CMV 배양의 경우 VTM 용기 사용 | |
CSF | 3.0~5.0mL | 혈액이 혼입된 검체는 혈액 내에 존재하는 항체가 바이러스 배양을 억제 | |
Rectal swab | 면봉을 직장 내 2~4cm 부위에서 rub and rotation 방법으로 채취 | VTM | 대변을 채취하지 못할 경우 사용 |
상부호흡기 |
① 비인두흡입물 ② 비인두도말물 ③ 구인두도말물 바이러스 분리율 ① > ② > ③ |
|
|
하부호흡기 | 기관지흡입물 기관지세척액 |
|
|
Skin, Mucous membrane lesion | 수포(vesicle)를 26 gauge 주사침이나 tuberculin syringe 또는 면봉을 사용하여 채취 |
|
|
Eye |
결막
|
운송배지에 사용된 면봉 모두를 넣음. | |
Cervical urethral | 면봉검체 사용 | - | |
타액 | 2.0~3.0mL | - | |
Semen | - | CMV 배양에 주로 이용 | |
Blood | 전혈 5.0~8.0mL |
Heparin, Sod. Citrate |
- |
제대혈(cord blood) 검체는 응고가 잘되므로 채취 후 sodium heparin 용기에 넣어 즉시 여러 번 혼합하여 의뢰합니다.
Hepatitis virus 관련 검사는 SST 사용을 원칙으로 합니다.
Human papilloma virus 관련 검사는 반드시 각 종목에 해당되는 전용용기를 사용합니다.
① 구강세척
② 무균용기 사용
③ 기침 유도하여 객담채취
④ 완전밀봉(4℃ 유지)
[출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지침]
EDTA 용기에 혈액 3.0mL을 채취하여 의뢰하며, 채혈이 어려울 경우에는 구강 swab으로 검사가 가능합니다. 구강 swab은 면봉으로 채취 후 멸균용기에 면봉 tip이 잠길 정도의 생리식염수를 넣어 의뢰합니다(검사 실패 가능성 있음). 이외 검체는 검사가 불가합니다.